무릎은 신체 활동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다. 걷고 뛰며 방향을 바꾸는 모든 동작에 무릎 관절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 강한 충격을 견디며 시종일관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무릎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핵심 구조 중 하나가 바로 전방 십자인대다.
해당 인대는 대퇴골, 경골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데
특히 무릎이 앞뒤로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점프 후의 부정확한 착지, 강한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전방 십자인대가 손상되거나 완전히 파열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축구, 농구, 배구 등 격렬한 움직임이 필수적인 스포츠 활동 중
전방 십자인대 파열 가능성이 높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될 경우 무릎 통증과 더불어 무릎이 빠질 듯한 느낌
또는 무릎이 흔들리는 불안정한 감각 등을 경험한다.
이와 함께 부종, 운동 범위 제한 등이 동반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손상 부위를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무릎 관절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면서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결국 무릎 퇴행성관절염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방 십자인대 파열 부상이 의심된다면
가급적 빠르게 병원을 찾아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전방 십자인대 손상 여부는 이학적 검사와 함께
MRI, X-ray 등 영상 진단을 통해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손상 정도, 환자의 나이, 활동 수준 등에 따라 보존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인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됐고 환자의 활동량이 많지 않다면 보조기 착용 및
물리치료를 병행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경우라면 수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전방 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활용한 십자인대 재건술이 필요하다.
이 수술은 무릎 뼈에 터널을 형성한 후 타가건(기증 조직)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기억해야 할 점은 수술만큼이나 중요한 과정이 바로 재활 치료라는 것이다.
재건술 이후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회복되기 위해 최소 6개월 이상의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시기에는 단계적인 근력 강화, 관절 유연성 회복, 균형 감각 훈련 등이 포함된다.
재활을 제대로 실천하지 않을 경우 인대가 느슨해지거나 다시 손상되는 재파열의 위험이 크다.
때문에 의료진의 지도 아래 성실히 재활을 진행해야 한다.
이영석 은평 성누가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무릎 수술 후 통증이 가라앉았다고 해서 치료가 끝난 것이 아닌데
재활운동을 통해 근력을 강화하고 무릎 관절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재발 방지를 위한 마지막 단계”라며
”평소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고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생활화하는 것이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줄이는 예방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